마니산
총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 주소
- 인천 강화군 화도면 동막리 7-3
- 산코드
- 287100601
- 산명
- 마니산
- 산정보부제
- 역대 왕들이 하늘제를 올리던 산
- 산정보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 산정보높이
- 472
- 100대명산 선정이유
- 단군시조의 전설이 간직된 산으로 역사,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선정, 사적 제136호인 참성단(塹星壇), 함허동천, 사적 제130호인 삼랑산성이 있음. 또한 많은 보물을 보존하고 있는 정수사(淨水寺) 및 전등사(傳燈寺)등이 있으며, 성화를 채화하는 장소이기도 함
- 산정보개관
- 경기도 최대의 섬 강화도에서 최고 높은 산이다. 단군왕검이 세 봉우리 중 가운데것에 참성단(사적 136호)을 세우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고조선의 안녕을 기원했다는 산으로 몇 해 전 풍수들이 마니산을 가장 기가 센 곳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있는 전설인데, 이 산이 쓰기로는 마니산이지만 부르기로는 마리산인 데 근거했을 것이다. 1977년에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으며, 참성단의 유명세로 많은 이들이 오래 전부터 즐겨 찾는 명승지다. 암골미가 뛰어난 데다 이중환의 명산 제2조건 ""큰 바다를 끼고있을 것""을 갖춰 전망을 따를 데가 없다. 염하(鹽河)나 석모도와의 사이 개(浦)처럼 강 같은 바다, 장봉도와 사이의 호수 같은 바다, 서쪽의 망망대해가 가슴을 탁 트이게 한다. 신라 선덕여왕 8년(639년)에 희정선사가 창건한 정수사 등이 산자락에 있어 문화유적 답사지로도 좋으며 해안의 진, 보, 돈대 등 호국문화재를 둘러볼 수도 있다.
- 산정보내용
- 우리나라에서 다섯번째로 큰 섬인 강화도에는 고려산, 혈구산, 진강산, 마니산 등 400m 이상의 4개산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솟아 있는데 그 중 제일 높은 산이 마니산이다. 〈고려사〉〈세종실록지리지〉〈태종실록〉 등 조선 초기에 발간된 문헌에는 머리산, 우두머리산이란 뜻의 마리산(摩利山) 또는 두악(頭嶽)으로 쓰여 있다. 그래서 지금도 마리산이라는 이름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오랫 동안 마니산이라 불러왔는데 새삼 마리산이라고 하여 혼동을 줄 필요는 없을 것같다. 마니산은 비교적 낮고 수도권에 가까운 거리에 있어 친정을 찾는 기분으로 편하게 찾을 수 있다. 해발이 낮더라도 주능선이 암릉으로 되어 있으니 등산의 묘미도 한껏 만끽할 수 있는 산이다. 동남으로 가느다랗게 뻗은 능선을 따라 오르다 보면 망망한 서해를 조망할 수 있다. 조국순례 안내판이 있는 '개미허리'에서 98개의 계단길을 올라가면 사적 제 136호인 '참성단'(塹星壇)을 만날 수 있다. 이곳에서 매년 개천절과 전국체전때마다 성화가 채화된다. 참성단은 단군 왕검 재위 51년(BC2283년)에 운사(雲師)인 배달신(倍達臣)이 마리산에 쌓은 제단으로, 〈삼국사기〉에 의하면,고구려.신라.백제의 여러 왕들이 이 곳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고려 공민왕 때와 조선 인조.숙종 때 각각 보수되어 현재 이른다. 이 단은 화강석을 쌓아올려 만든 것으로, 밑부분은 둥글고 윗부분은 사각형이며, 높이가 총6m에 달한다. 참성단 위에 오르면, 동쪽으로 정상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이고, 남쪽 아래로는 푸른 물결이 넘실거리는 넓은 바다가 발아래로 펼쳐지고, 동남쪽 멀리 인천시가지가 아득히 보인다. 정상 서쪽 산기슭에는 신라 선덕여왕 8년(639년)에 창건했다는 정수사와 함허대사(涵虛大師)가 수도하였다는 함허동천이 자리잡고 있다. 함허동천에는 1백여m의 암반위로 물이 흐르고, 암반에는 함허대사가 새겼다는 '涵虛洞天'(함허동천)이란 글자가 음각 되어 있다. 외침을 자주 받았던 고려가 부처의 힘으로 나라를 지켜 보려고 강화도에서 크게 불사를 펼쳤던 까닭인지 강화도에는 내력 있는 절이 많다.
- 대중교통정보설명
- 기점은 강화읍이다. 읍내 터미널에서 상방리행(국민관광단지)이나 사기리(함허동천)행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강화행 버스는 서울 신촌에서 10분, 영등포에서는 15분, 인천에서는 20분 간격으로 있다. 부평과 안양에서도 다닌다. > 강화읍→상방리 : 30~40분 간격으로 06:00~21:30까지 운행> 사기리→강화읍 : 06:00~20:25까지 1일 7회 운행
- 주변관광정보설명
- ● 숙식 및 기타정보상방리 관광단지에 숙박시설이 많다. 파인힐여관 ☎032-937-9317 마니산장여관 ☎032-937-3123, 사기리쪽은 카리브 ☎032-937-3042 정수장여관 ☎032-937-5732 함허동천야영장 ☎032-937-4797, 동막리는 그린파크여관 ☎032-937-8845● 이용문의마니산 관리사무소 ☎032-937-1624
- 산정보주변관광정보기타코스설명
- ① 정수사-정상-참성단-계단길-국민관광단지(총 2시간 15분)② 함허동천-능선갈림길-정상-능선갈림길-정수사(총 1시간 40분)③ 진개마을-314봉-정상-참성단-315봉-작은뫼넘이-상봉-선수약수(총 6시간)
- 지번 주소
- 인천 강화군 화도면 동막리 7-3
- 부가 데이터
- [{"content":"장화리와 더불어 서해낙조 전망대로 손꼽히는 강화도 유일의 해수욕장이다.석모도 해수욕장이 더 유명하기는 하지만 배를 타고 건너가야 한다. 갯벌체험장으로도 유명하여 여름철이면 어린이와 부모들이 밀물처럼 몰려든다.","image":"P_M0171_1.jpg ","num":1,"seq":102,"titl":"갯벌체험장 동막해수욕장"},{"content":"강화군청 홈페이지에 \"\"넘버원 추천코스\"\"로 올라있는 곳이다. 강화대교를 건너자마자 왼쪽의 갑곶돈대에 있다. 지하1층, 지상2층의 맞배집 형식 콘크리트건물로 홍이포 하나와 대포 둘, 철제유물 38점, 석재유물 69점, 목제와 그릇, 의상 등 총 169점의 유물이 전시되어있다. 강화 유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강화도 필수 관광코스로 꼽힌다.","image":"P_M0171_2.jpg ","num":2,"seq":1443,"titl":"넘버원 추천코스 강화역사관"}]
마니산 주변 장소
마니산에서 41.8km
관악산
서울 금천구 독산동 산 10-2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0.5km
도봉산(자운봉)
서울 도봉구 도봉동 산 31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7.7km
감악산
경기 양주시 남면 신암리 193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64.2km
소요산
경기 동두천시 탑동동 885-12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72.5km
천마산
경기 남양주시 오남읍 팔현리 산 14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77.4km
축령산
경기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리 281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90.7km
운악산
경기 가평군 조종면 상판리 산 1-2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94.0km
용문산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128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주변 관광지
근처 캠핑/글램핑
마니산에서 2.3km
윈드힐캠핑장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 1145-1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2.4km
강화오션뷰캠핑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 779-13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2.7km
햇솔오토캠핑장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 760-22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3.3km
에덴의정원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 1845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3km
오크힐글램핑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해안남로1998번길 8-28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6km
동검도노을캠핑장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길 159-13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6km
더숲캠핑장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보리고개로 187-5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6km
크로바야영장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해안남로 497-4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8km
마니산밸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마니산로613번길 52-29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1km
규니네캠핑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길65번길 3-2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2km
섬마을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길65번길 19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2km
하늘정원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길 21
바로가기
근처 휴양림수목원 정보
마니산에서 16.3km
석모도수목원
인천광역시 강화 삼산 석모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7.0km
석모도 자연휴양림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서로 39-75 (417-913)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29.9km
인천수목원
인천광역시 남동구 무네미로 236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33.4km
무릉도원수목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384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37.8km
용도수목원
경기도 시흥시 매화동 산 32.20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6.3km
장흥자생수목원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309번길 167-35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6.4km
서울대 관악수목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280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7.2km
아세안자연휴양림
경기도 양주시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1.7km
홍릉숲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2동 207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3.2km
서울대공원식물원
경기도 과천시 대공원광장로 102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5.4km
바라산 자연휴양림
의왕시 북골안길 96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6.9km
산들수목원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59번길 48-31
바로가기
근처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국가숲길 코스
마니산에서 88.2km
내포문화숲길-1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성상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00.7km
내포문화숲길-5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11.8km
내포문화숲길-3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19.1km
내포문화숲길-2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24.6km
내포문화숲길-4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63.6km
DMZ펀치볼둘레길-1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오유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66.3km
DMZ펀치볼둘레길-3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67.0km
DMZ펀치볼둘레길-2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후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67.0km
DMZ펀치볼둘레길-4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후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67.0km
백두대간트레일-2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 후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73.0km
백두대간트레일-1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창촌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85.3km
백두대간트레일-3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장신리
바로가기
근처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산림청 100대명산
마니산에서 1.8km
마니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8km
마니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5km
마니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상방리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1.9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1.9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2.1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2.2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2.6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2.7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2.8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2.9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43.0km
북한산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바로가기
근처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100대명산플러스 목록정보 서비스
마니산에서 26.5km
문학산
인천광역시 남구 문학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6.1km
수락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56.7km
불암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ㆍ중계동,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70.3km
검단산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 광주시 남종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70.7km
백봉산(백봉)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동, 와부읍, 화도읍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74.4km
주금산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포천군 내촌면, 가평군 상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81.0km
태화산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88.3km
대금산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88.3km
호명산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90.7km
연인산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ㆍ북면ㆍ하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99.4km
가야산(서산)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ㆍ예산군 덕산면
바로가기
마니산에서 101.9km
소리산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바로가기